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진관동 리팟레이저 흑자 커져 갈 때

연세팜스의원 행복의 미소를 짓게 하는, 2025. 9. 23. 12:21

 

 

 

진관동 리팟레이저 흑자 커져 갈 때

 



계속 흑자를 치료해 보긴 했는데 그대로 남아 있다 보니 치료를 포기하고 계신 분들도 많습니다. 그런데 흑자가 더욱 진해진 것 같다면 혹은 흑자 부위가 넓어진 것 같다면 아무래도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는데요. 그래서 이런저런 방법에 대해 알아보다 진관동 리팟레이저에 대해 알게 되어 문의주시는 경우가 적지 않답니다.



이렇게 진관동 리팟레이저에 대해 찾게 되는 이유는 흑자 치료가 결코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도 그럴 것이 교과서에 보면 색소 질환으로 분류되어 있긴 하지만 사실 색소 질환이 아닌 양성 종양이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색소 질환으로 생각하고 치료를 받게 되면 당연히 치료에 실패하게 된답니다. 반드시 재발하게 되는데요. 


이러한 흑자가 다시 발생하는 일이 없도록 제대로 치료하는데 도움을 받으려면 병변 부위보다 레이저를 넓게, 아주 강하게 쏘아야 한답니다. 그러나 레이저를 강하게 쏠 경우 화상을 입게 되기 때문에 레이저를 강하게 쏘는 것도 중요한 문제이지만 레이저에 대한 반응을 최소화시키도록 해야 합니다.​

​​

그리고 진관동 리팟레이저가 흑자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이유는 532nm 파장의 앤디야그 레이저 소스에 이루다의 VSLS를 적용한 의료기기이기 때문입니다. 기존보다 5배에서 10배 정도 강한 레이저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그러면서도 조직 반응이 아주 적게 생기도록 만들어졌답니다. 그래서 병변부에 있는 이상세포를 완전히 제거하는 만큼 시술을 받고 나서 흑자가 다시 재발하는 경우는 아직까지 없답니다. 그런 만큼 언제나 1회로 시술이 끝나고 있습니다.


또 한 번 이상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흑자가 재발해서가 아니라 동반되어 있던 진피색소나 기미로 인해서인데요. 이럴 때는 색소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도움을 받아야 한답니다.


덧붙여 동반 여부는 시술 후 알 수 있습니다. 진관동 리팟레이저를 시술받고 나서 듀오덤을 제거할 때 거뭇한 자국이 보인다면 진피색소입니다. 또 듀오덤을 제거하고 나서 2~3주 후에 거뭇한 자국이 보인다면 기미인데요. 기미는 수개월에서 1년여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자연히 나아집니다. 하지만 보다 빨리 좋아지길 원한다면 치료를 하는데 도움을 받으시면 된답니다.



그리고 진관동 리팟레이저의 경우 시술을 받는 동안 설정되어 있는 냉각 온도를 계속 유지하는데요 그래서 피부를 보호하면서도 안전하고 강력하게 에너지를 조사할 수 있답니다. 또한 어떤 시야각과 시술 환경에서도 선명한 디스플레이를 통해 VSLS 기능을 직관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타깃에만 레이저 에너지를 조사하는 위치 인식 및 추적 가이드 기술이 있는데요. 체외형 의료용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 수집한 병변 데이터로 타깃에 맞춰서 에너지를 조절하게 됩니다. 그래서 안전한 시술을 지원한답니다.



​또한 진관동 리팟레이저 시술을 받는 과정에 대해 얘기해보자면 우선 세안을 한 뒤 마크뷰를 합니다. 그리고 상담을 받고 나서 시술받을 부위를 표시하게 되는데요. 이렇게 표시가 된 상태로 아이패드를 이용해서 사진 촬영한답니다.


또한 수술실에서 에피리도를 하고 나서 관리실에서 마취크림을 바른 뒤 시술에 들어가게 되는데요. 시술이 끝난 후에는 관리실에서 데소나를 하고, 데소나가 흡수되고 나면 듀오덤을 적용한답니다.


또 주의사항에 대해 안내하며 예약을 2주 후로 잡는데요. 2주가 지나면 듀오덤을 제거하면서 흑자가 있던 부위의 상태를 확인한답니다. 그리고 듀오덤을 제거한 부위를 정리하며 아토베리어를 도포합니다.



​또 진관동 리팟레이저는 색소 질환에 적합하지 않은데요. 그도 그럴 것이 색소 질환의 경우 색소 세포 수가 정상보다 많아지면서 피부의 표피와 진피에 색소 침착이 생겨 발생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병변 부위의 이상세포를 제거하는 방식이 아닌 피부 세포 속에 있는 멜라닌 색소를 세포 손상 없이 파괴하여 제거하는 방식으로 도움을 받도록 해야 합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